열심히 일한 대가로 우리는 한달에 한번씩 월급이라는 것을 받게 됩니다. 아르바이트를 해서 그 알바비를 받는 경우도 있겠죠. 일당을 받기도 하고, 주식 배당을 받기도 하고 투자 수익을 얻기도 하구요.
이런 소득이 변화함에 따라 우리의 소비는 어떻게 변할까요? 절대소득가설(Absolute Income Hypothesis), 상대소득가설(Relative Income Hypothesis), 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 이 3가지는 소득과 소비의 관계를 설명한 경제 이론들입니다.
(출처: google image, Labeled for reuse with modification)
절대소득가설(Absolute Income Hypothesis)
절대소득가설(Absolute Income Hypothesis)은 케인즈가 주장한 이론으로,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소비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득이 아무리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소비가 같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이론입니다.
우리 소득이 아무리 늘어난다 할지라도 결국 먹고 자고 입고 하는데 사용하게 되는 비용은 한계가 있다는 것이죠. 아무리 매일매일 고급진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한다고 하더라도 어쨌든 우리 배가 먼저 한계에 다다를테니까요. 결국 소비 증가가 소득 증가를 못 따라가게 된다는 거죠.
때문에 절대소득가설에 따르면, 소득이 증가하면 전체 지출 비율에서 소비 지출 비율은 감소하고 저축 비율은 증가하게 됩니다.
상대소득가설(Relative Income Hypothesis)
상대소득가설(Relative Income Hypothesis)은 듀젠베리의 이론으로, 사람들의 소비, 지출은 그들의 절대소득 수준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입니다.
때문에 상대소득가설에 따르면, 자기가 속해있는 계층의 사람들의 소비 형태와 소득 수준에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한 형태와 정도의 소비를 하게 됩니다. 이것을 소비의 전시효과라고 합니다.
또한 소비 수준이 한 번 올라가게 되면, 소득 수준이 감소하게 되더라도 다시 예전의 소비형태로 돌아가지 못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주장을 소비의 비가역성, 소비의 톱니 효과라고 합니다.
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
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은 프리드먼이 내놓은 이론으로, 일시적인 소득 증가는 소비로 이어지지 않지만 장기적, 지속적으로 기대되는 항상 소득은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입니다.
예를 들어, 로또를 맞았다거나 혹은 성과급을 지급받는 것과 같은 일시적, 일회적인 소득 증가는 그 한순간 평소 소비보다 더 많은 소비, 즉 과소비를 하게 만들 수는 있지만, 평균소비량 자체를 늘리는데는 이런 일시적 소득증가보다 월급여의 증가와 같은 지속적 소득증가가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거죠. 이후 소득이 꾸준히 증가된다는 전제가 있게 되면 조금 더 소비에 자유로워지니까요.
때문에 항상소득가설에 따르면, 저소득층, 취약 계층에 대한 임시적인 소득 지원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으며, 적극적인 중산층 복원과 확대를 통한 소비 진작으로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저소득층에 대한 일시적 복지 지원으로는 소비가 장려 되는 폭이 작기 때문에, 일할 수 있는 기회와 힘 자체를 줘야 한다는 것이죠.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 마케팅 ■ > 마케팅을 위한 지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 성향에 따른 재화 종류 : 정상재, 열등재, 기펜제 (1) | 2016.04.23 |
---|---|
정보 비대칭성, 역선택(레몬 문제) (0) | 2016.04.21 |
똑같은 삶을 강요하지마? 세대 간 영향력 Intergenerational Influlences, IGI (0) | 2016.04.18 |
감성을 자극하는 데카르트 마케팅 Techart Marketing (0) | 2016.04.18 |
인플레이션의 종류 : 원인별 인플레이션, 특성별 인플레이션 (2) | 2016.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