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와 자본수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의 표, 각 항목을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경상수지(Balance on Current Account)란, 한 나라에서 일정기간 외국간의 거래에서 발생한 모든 경제 거래 중 자본 거래에 의한 항목을 제외한 결과입니다(자본 거래에 의한 것은 자본수지로 분류합니다).
경상수지는 다음의 4가지로 구분합니다.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
(출처: google image, Labeled for reuse with modification)
하나씩 살펴보자면,
상품수지는 상품거래에 의한 수지 내역으로 상품의 수입, 수출의 차액입니다. '상품'이 포인트입니다.
서비스수지는 서비스거래에 의한 수지 내역으로 보험, 해외여행, 유학, 연수, 운수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서비스'가 포인트입니다.
소득수지는 노동, 자본 등 생산 요소를 제공하면서 발생되는 임금, 배당, 이자 등의 수입과 지급 차이를 말합니다. 근로자가 외국에 나가서 벌어들인 돈과 해외투자 결과 획득한 배당금 및 이자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경상)이전수지는 송금, 기부금, 무상원조 등 대가없이 무상으로 주고 받는 거래의 수입, 지출의 차액입니다. '무상'이 포인트입니다.
'경상수지-소득수지', 그리고 '자본수지'는 투자라는 성격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으면 잘 헷갈리는 항목이기도 합니다.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는 방법은 자본수지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 마케팅 ■ > 마케팅을 위한 지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의 수지타산 : 경상수지와 자본수지의 관계 (1) | 2016.04.23 |
---|---|
무역의 수지타산 : 자본수지(Balance of Capital Account) (9) | 2016.04.23 |
무역의 수지타산 :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 (15) | 2016.04.23 |
총효용(Total Utility)과 한계효용(Marginal Utility) (14) | 2016.04.23 |
본원통화 Reserve Base, 지급준비율(Cash Reserve Ratio) (0) | 2016.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