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변동에 다른 원화, 달러화, 수출,
수입, 물가와의 관계를 설명한 포스팅입니다."
환율, 원화, 달러화, 수출, 수입, 물가...
경제 공부하면서 끊임없이 나오는 녀석들이죠. 개념 확실히 잡아놓지 않으면 매번 나올 때마다 헷갈려요 그러니까 여기서 아주 쉬우면서도 완벽하게! 정리해봅시다.
환율 관련 기본개념 잡고가기
본격적인 설명으로 들어가기 전에 기본적인 개념을 먼저 잡고 갑시다. 원화는 우리나라 돈입니다. 100원, 200원 할 때의 원을 따서 부르는 말이에요. 화폐를 통화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이 경우 자국통화라고 하면 원화를 뜻합니다.
같은 의미로 달러화라고 하면, 화폐 단위에 달러, 달러 붙는 나라 있죠? 미국의 통화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자, 다음으로는 환율을 정의해봅시다. 먼저 사전적인 정의를 봐볼께요.
한 나라의 통화와 다른 나라 통화 사이의 교환비율.
외국통화 1단위에 대해 지불하는 국내 통화의 단위.
여기서 말하는 외국통화(외국환)은 일반적으로 달러가 되죠. 때문에 보통은 "미화 1달러와 교환되는 각국의 화폐 단위"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미화 1달러가 원화 1,000원과 교환된다면 환율은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won 0.001 / $
$ 1,000 / won
환율은 이런 식으로 표기합니다.
환율, 원화, 달러화, 수출, 수입, 물가간의 상관관계
기본적인 정의는 여기까지 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환율, 원화, 달러화, 수출, 수입, 물가』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봅시다. 우선, 환율은 올랐다, 내렸다, 상승, 하락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인상, 인하, 절상, 절하"라는 표현을 쓰지 않아요. 많이 실수를 저지르는 부분인데 확실히 알아둡시다.
① 환율이 올랐을 때 (환율 상승 시)
환율이 올랐다는 이야기는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미화 1달러에 교환되던 원화의 가격이 올랐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1$ = 1,000 won 이렇게 거래되던 것이 1$ = 1,500 won 이 되어 1,000원 주고 살 수 있었던 1$를 1,500원 줘야만 살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돈, 즉 원화의 가치가 내려가버렸죠? 이런 상황을 원화의 평가절하라고 합니다. 반대로 달러는 평가절상 되었죠.
그러므로 환율 상승 때 따라오는 현상은 '원화 (평가)절하, 달러 (평가)절상' 이 2가지입니다. 이제 이 상황을 가정하고, 수출과 수입을 생각해봅시다.
보통 이렇게까지 환율이 크게 변하지는 않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극단적인 예를 들어서 1$ = 1,000 won 이렇게 거래되던 것이 1$ = 1,500 won 가 되었다고 해봅시다.
제품을 만들어 외국에 팔았을 때, 어떤 제품을 똑같이 1$를 받고 팔아도 이전보다 500원의 이득을 더 얻습니다. 환율이 오르기 전과 이득을 똑같이 하겠다는 마음을 먹는다면 1$보다 낮은 가격에 팔아도 제품 1개당 1,000원의 이득을 올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은 완전히 유리해집니다. 하지만, 수입의 경우는 반대의 이야기가 되겠죠? 즉 환율 상승은 대개의 경우 수출 증가, 수입 감소로 나타납니다.
관광 수지도 봐볼까요?
해외여행을 나가는 관광객이나 유학생들은 어떨까요? 환전에 드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불리해집니다. 하지만 반대로 해외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여행객들은 신이 납니다.
더 적은 달러로 많은 원화를 환전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 의미에서 환율 상승은 관광 수지 개선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② 환율이 내려갈 때 (환율 하락 시)
어떻게 보면, ①과 반대되는 이야기를 그대로 쭉 할텐데요...ㅋ.... 그래도 하겠습니다...
환율이 내린다는 이야기는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미화 1달러에 교환되던 원화의 가격이 내린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1$ = 1,000 won 이렇게 거래되던 것이 1$ = 500 won 이 되어, 1,000원 주고 살 수 있었던 1$를 500원만 줘도 살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돈, 즉 원화의 가치가 올라가버렸죠? 이런 상황을 원화의 평가절상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달러는 평가절하 되었죠. 그러므로 환율 하락 때 따라오는 현상은 원화 (평가)절상, 달러 (평가)절하 이 2가지입니다.
이제 이 상황을 가정하고 수출과 수입을 생각해봅시다.
1$ = 1,000 won 이렇게 거래되던 것이 1$ = 500 won 가 되었습니다. 제품을 만들어 외국에 팔았을 때 어떤 제품을 똑같이 1$를 받고 팔아도 이전보다 500원의 손해를 봅니다. 환율이 오르기 전과 이득을 똑같이 하겠다고 독하게 다짐을 하면 1$보다 높은 가격에 팔아야만 합니다.
가격 경쟁력이 없어진 상태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죠. 이와 같이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은 불리해집니다. 수입의 경우는 반대가 되겠구요. 즉 환율 하락은 대개의 경우 수출 감소, 수입 증가로 나타납니다.
다시 한번 관광 수지까지 보자면 해외여행을 나가는 관광객이나 유학생들은 환전에 드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유리해집니다.
하지만 반대로 해외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여행객들은 원화 환전에 드는 비용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환율 하락은 관광 수지 악화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③ 물가와 관련된 문제
물가를 따로 빼놓은 이유는 환율 상승, 하락에 의한 전형적인 현상에서 벗어나 물가의 움직임부터 시작되는 것들이 더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물가 중심으로 다시 생각해보겠습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이야기는 화폐가치가 계속 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즉, 원화가 계속 평가절하 된다는 의미에요. 물가가 내리게 된다면 반대의 현상이 일어날 거구요(원화의 절상, 절하에 따른 변화는 앞서 설명했습니다).
환율과의 관련성을 찾아보자면 환율이 오르면 수입해오는 원자재의 가격이 상승하므로 물가도 같이 상승할 위험이 있습니다. 하락했을 때는 반대의 효과를 가져오겠구요.
초딩도 알아들을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고 했는데 어렵네요ㅠ 쉽게 설명하기....ㅜ
'■ 마케팅 ■ > 마케팅을 위한 지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성을 깨는 움직임,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0) | 2019.10.19 |
---|---|
화폐착각 Money illusion (0) | 2019.10.19 |
M&A 관련 용어 : 풋백옵션, 콜백옵션, 조건부가격청구권(CVR), 차입매수(LPO) (0) | 2019.10.19 |
GDP의 한계를 지적하는 국민행복지수(GNH, Gross National Happiness) (0) | 2019.10.19 |
GDP와 GNP 정의, 해석하는 방법 (8) | 2019.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