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1인당 GDP나 경제성장률 지표를 살펴보면 대한민국은 점점 더 발전하고 있고 살기 좋아지고 있다고 하는데 왜 우리에게는 그닥 체감되는 게 별로 없을까요?
국민들이 행복한 나라란 어떤 나라일까요?
무엇 때문에 GDP, GNP 같은 경제지표들과 우리네의 행복지수는 따로 놀게 되는 걸까요? 사실, 이런 행복이라는 것을 지표화해서 산출해보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
국민행복지수(GNH, Gross National Happiness)란, 1972년에 부탄 국왕인 왕추크(Jigme Singye Wangchuck)라는 사람이 제안한 개념인데요,
경제성장은 국민행복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들은 사람들 사이에서 꾸준이 있었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GNH 역시 국내총생산(GDP)을 대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등장했습니다.
(출처 : Free photo, pixabay.com)
물론, 그렇다고 해서 GNH가 GDP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겠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서 간과되었던 점들을 재조명한다는데 있어서 나름대로 의의를 갖습니다.
경제성장과 국민행복이 일치하려면 부의 공평한 분배의 문제 같은 산술적인 사항에서부터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정말 많겠지만, 사실 놀라운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서 부의 공평한 분배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경제발전에 의해 국민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 높아져도 행복도는 더 높아지지 않는다고 해요.
이 같은 현상을 이스털린의 역설(Esterlin's Paradox)이라고 부르죠.
뭐랄까요, 이 포스팅을 읽고 계신 분께서는 매달 받게 되는 월급이 얼마 정도 되면 행복하실 것 같으신가요?
얼마 정도 급여가 오르게 되면 이제 소원이 없겠다, 만족한다, 이렇게 말할 수 있을까요? 예전에 국내에서인가 심리학 실험을 하나 했던 결과를 본 적이 있었는데, 이게 이스털린 역설과 관련된 실험이었습니다. 사람들의 월급을 올려주면서 행복도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죠.
처음에는 월급(소득)이 늘어나는만큼 유의미하게 행복도도 증가하다가 월급여가 700만원을 넘어가는 선에서 행복도가 멈춰버리더니 하락하기 시작했다고 해요.
아이러니한 일이죠. 어쨌든 이스털린 역설에 의하면 GDP 같은 경제성장 지표로는 행복도를 반영 못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때문에 국민이 느끼는 행복감은 그 국가의 소득 수준에 일치하지 않으며, GDP는 이런 외부 효과나 삶의 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합니다.
GNH와 관련된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자면, GDP가 국민생활, 국민행복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이러한 이유로 조지프 스티글리스, 아마르티아 센 2명의 교수는 GDP 산출방식 변경, 새로운 행복측정법, 환경 및 금융 안전성 등 3가지로 구성된 새로운 경제지표 권고안을 프랑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에게 제출하기도 했구요,
2002년에는 영국 심리학자 로스웰, 상담사 코언이 행복공식이라는 것을 만들어 발표하기도 했지요. GNH 역시 이런 흐름에서 나온 지수 중의 하나랍니다.
'■ 마케팅 ■ > 마케팅을 위한 지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이 변하면? 물가, 수출, 수입, 국제수지와의 관계 (21) | 2019.10.19 |
---|---|
M&A 관련 용어 : 풋백옵션, 콜백옵션, 조건부가격청구권(CVR), 차입매수(LPO) (0) | 2019.10.19 |
GDP와 GNP 정의, 해석하는 방법 (8) | 2019.10.19 |
1인 가구(소형 가구) 증가가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SOLO (0) | 2019.10.19 |
1분만에 이해하는 디플레이션(Deflation)의 영향 (9) | 2019.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