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는 의지가 약해서 담배를 못 끊어요
1년 기준으로, 본인의 의지만으로 금연에 성공할 확률은 3-5%라고 합니다.
'의지가 약해서 못 끊는다'가 아니라 대다수가 원래 그래요..
또 1번의 금연 시도로 성공하는 경우는 더 적어요, 대부분은 4-5회의 시도 후에 성공한다고 하네요.
흡연은 신체 내 반응을 살펴보면 니코틴 의존증, 즉 질환이에요.
즉,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하죠.
행동요법, 금연상담, 니코틴 대체요법, 약물치료를 병행할 경우 성공률은 60%까지 상승해요!
2. 담배를 피우면 스트레스가 해소된다고 하던데요?
흡연을 오래하게 되면 금단증상을 가져와요.
흡연을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금단증상이 해소되면서,
"마치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것처럼 착각"하죠.
실체로 몸은 엄청난 스트레스(압박)을 느낀답니다.
흡연이 길어질수록 더 지속적인 니코틴 의존을 초래하고,
끊고자 했을 때의 금단증상이 더욱 심해져 더 끊기 어려워져요.
3. 담배를 끊으면 살이 찐다는데요? 살 찌고 싶지 않아요.
금연 후 체중 증가는 분명히 있어요.
남자 3.8kg. 여자 2.8kg 정도랍니다.
우~ 많다구요?
이런 체중 증가의 원인은 기초대사량의 감소와 식욕의 증가에 따른 것이랍니다.
담배를 핌으로써 빼앗긴 정상성의 회복인 거에요;;
그간 몸이 비정상적이었다는 말이지요.
그래도 싫다.. 이런 스트레스를 줄이려면 금연과 운동을 병행해야 해요.
금연 후의 체중증가는 운동과 병행해준다면
3kg대에서 증가했다가 다시 돌아올 거에요.
4. 담배를 끊고 난 후 기침과 가래가 더 심해졌어요.
네! 축하드립니다.
그것은 기관지의 자기방어 기능이에요.
흡연 시 섬모의 손상은 23배에 달하고 운동 속도도 저하되거든요.
이런 경우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가 힘들죠.
이런 것들이 금연 후에 빠른 속도로 회복되는 거에요.
대략 3일 경과 시, 기관지 이완, 호흡이 나빠졌다고 느끼게 되고,
1주일 이내에 그간 축적되었던(우욱, 흡연 중에 쌓인 것들이에요ㅠ) 가래가 나오며,
이 주 몇 주에 걸쳐서 기침을 통해 배출되죠.
즉, 정리하자면 섬모의 기능 회복으로, 기침과 가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거에요.
3개월이 지나면 체내 쌓인 물질들이 모두 제거되고,
호흡기의 자체 정화 기능도 정상으로 회복된답니다.
5. 옆집 할아버지는 50년 이상 흡연하셨는데도 정정하세요.
모든 질병들의 전체 사망원인의 1/3에 기여하는 게 담배라는 거 아세요?
흡연자는 비흡연자와 비교해서 각종 질병 가능성이 높아요.
폐암의 경우 5~10배
후두암의 경우 7배(음주는 비음주자에 비해 5배)
심장질화은은 2배 이상
뇌졸증은 2-3배 이상이죠.
옆집 할아버지는 흡연하지 않으셨다면 기네스북으로 가셨을지도...
사람마다 해독 능력은 확실히 차이가 있지만,
그렇다고 영향이 없는 것은 아니에요.
'리차드 돌 박사'가 50년간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건강실태 추적 관찰한 보고서가 있는데요.
나중에 이에 대해 자세히 다루도록 할께요!
6. 저타르 담배나 순한 담배를 피우면 덜 해롭지 않을까요?
아주 독한 놈들보다야 낫긴 하겠죠.
하지만, 저타르 담배나 순한 담배는 폐암 종류 가운데 하나인 선암을 오히려 확대시키고
편평 상피 세포암만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고 하네요..
담배 내 발암물질은 한두가지가 아니어서(약 70가지)...
'타르'의 수치를 줄인다고 해서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힘들답니다.
'■ 생각(반말주의) ■ > 오래된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연서포터즈] 담배에 대한 고찰 (0) | 2011.12.06 |
---|---|
[금연서포터즈] 담배의 역사 (0) | 2011.12.05 |
[금연서포터즈] 금연 재태크 (0) | 2011.12.02 |
[금연서포터즈] 담배연구소 직원이 동료에게 쓴 편지 (0) | 2011.11.09 |
[금연서포터즈] 금연 후 증상들 (0) | 2011.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