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ategory는 아래에 있어요 ;)
    • 전체글보기
    • 관리자
    • 글쓰기
Carousel 01

[기업분석] 자동차 산업 : 현대차, 기아차, 한국GM 등


1. 한국의 자동차 산업 개관



2012년을 기점으로 한국은 중국,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많은 456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하며 BIG5로 자리매김 했다. 

세계 7대 자동차 생산국인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인도, 브라질 중 한국외 6개국은 자국의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생산량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는 생산량의 31%만 내수시장에서 판매되고 나머지 60%이상 해외로 수출하고 있어 시장 경쟁력 측면에서 우월하다.

이러한 자동차산업의 성장은 업계의 부단한 노력의 결실이다. 

현대차, 기아차 등 업계의 끊임없는 연구개발 노력과 지속적인 품질 향상, 수출시장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2. 업종 이슈



1) 하이브리드 카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장점을 조합해 연비효율을 높인 차량으로 엔진과 전기모터 2가지 동력원을 조합해 주행하는 자동차. 

주행 중에 발전기로 전기를 생산하고 스스로 충전해 그 전기로 모터를 구동. 연비향상과 배기가스 저감, 경제성 측면에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평가.

 


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하이브리드카보다 한 단계 더 전기차에 가까운 차량으로 하이브리드카에 일반 가정에서 충전해 쓸 수 있는 배터리를 추가로 장착한 차량. 전원을 연결해 직접 구동 에너지원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 특징.

 


3)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배터리와 전기모터만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 

전기차는 향후 자동차업계의 명암이 가를 수 있다. 

화석연료 고갈 등 연료 측면에서 필연적으로 대두되고 있고 기존의 자동차 기술과 전혀 달라 후발주자는 기술을 따라가기 힘들기 때문.

국내의 경우, 현대차의 ‘블루온 전기차’는 상징적인 의미에 그쳤으나 2012년 출시된 기아차의 ‘레이 전기차’는 관공서에서 운행. 

르노삼성차도 2012년 하반기에 소형 ‘sm3 전기차’를 출시해 관공서에서 이용될 예정. 

한국GM은 미국 GM의 전기차 볼트를 국내에 들여오고, 쌍용차도 오는 2015년에 'EREV'의 양산 체제를 구축할 예정.

특히 우리나라는 배터리 부문에서 앞서가고 있어 더 높은 성장잠재력이 기대된다.

정부차원에서 전기차 육성정책도 활성화 되고 있다.


하지만, 전기차는 세계 각국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판매 대수는 아직 미미하다.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인 미국에서 2011년 판매된 전기차는 자동차 총판매량의 1%에 못 미치는 1만 7000대에 불과.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 3월 말 기준으로 전기차 수는 한달 평균 13대밖에 팔리지 않았으며 대부분 정부기관에서 구입.

 

전기차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배터리 및 충전문제.

충전소 설치, 충전시관과 충전거리의 한계 등 충전 인프라 부족도 전기차 보급 확대에 걸림돌. 또한 배터리 내구성의 한계도 극복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 교환소 설치를 해야하며 배터리 다목적화를 시켜 전기차의 배터리팩을 전기차용으로만 사용하지 말고 외부에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에너지원으로 활용하여 전기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 전기의 충전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음.

② 가격문제.

전기차는 가솔린차 대비 2~3배 가격이 높음. 레이는 4500만원.

배터리는 초기 구입 비용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반면 내구성이 의심되는 상황이므로 배터리를 아예 구입 조건에서 빼고 리스 형태로 제공하면 가격을 상당히 낮출 수 있음.



4) 수소연료전지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와 공기중의 산소를 직접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자동차. 

그래서 물 이외의 배출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연료전지차의 가장 중요한 기술은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압의 수소 저장 능력이다. 


수소연료전지차가 해결해야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가격.

가솔린차가 2000만원대이면 전기차는 5000만원대, 연료전지차는 1억원 정도로 비싸다. 

대량생산과 기술 향상을 통해 얼마든지 가격을 낮출 수 있다. 

특히 수소와 산소가 결합해 전기에너지가 생산되는 핵심장치의 가격을 얼마나 낮추는가가 관건.

② 안정도.

저온에서의 시동성을 물론이고, 시동꺼짐 현상을 방지하는 수소탱크의 안정도는 매우 중요하다. 

자동차라는 것은 어더한 상황에서도 안정도가 보장되지 않으면 치명적이다. 

이런 부정적인 부분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돌리는가도 중요한 요소이다.

③ 충전 인프라.

한번 충전하면 거의 600키로까지 이동할 수 있다는 전기차와는 다른 의미가 있지만 일반 주유소나 LPG충전소와는 개념이 다른 만큼 안전하게 요소요소에 수소 충전소가 필요하다.

 


5) 차량경량화 문제. 


세계자동차업계의 이슈 중 하나는 차량경량화다.  

현재 차량경량화는 탄소섬유,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 경량화의 핵심소재 연구와 함께 기존 철강소재의 첨단화도 진행되고 있다. 

현대차는 탄소섬유의 경우 세계적인 탄소섬유업체인 일본 도레이와 협업해 2년간 개발 끝에 2014년부터 차체에 적용할 수 있게 됐다. 

탄소섬유는 차량경량화를 위해 가장 각광받지만 가격이 비싸고 대량생산이 어려워 자동차 업계가 사용하지 못하였으나 현대차는 2013년 8월 저비용 대량생산 개발 CFRP공법에 성공했다. 

CFRP제조기술은 탄소섬유 복합재인 찬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을 기존 플라스틱 제조공법에 사용되는 사출성형에 적용한 것이다. 

현차는 CFRP를 사용해 만든 부품을 2014년부터 출시되는 차량에 처음으로 적용한다. 

현재 업계에서는 CFRP를 슈퍼카, 전기차 등 소량생산 차종 일부에만 사용되고 잇는 상황에서 현대차가 개발한 CFRP공법을 통해 탄소섬유 소재를 대량생산 차종에 처음으로 적용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3. 자동차 업계의 위협



2012년 현대차는 국내시장에서 전년 대비 2.2% 판매 감소했지만 해외시장에서는 8.3%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국내 수입자동차는 2012년 누적 판매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23.7% 증가하며 한국시장내 시장점유율이 1987년 진출 이후 10%를 돌파했다.

 

국내시장에 왜 수입차가 판매 급증 됐을까??


①수입차의 가격경쟁력 상승 및 중소형 신모델 출시.

국내차는 재료비, 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매년 차 값을 올린 반면, 수입차는 가격을 상대적으로 인하하였다. 

이는 원화강세에 따른 가격경쟁력이 상승한 것도 작용했고, 글로벌 자동차메이커들의 한국시장공략 정책도 한 몫한다. 

또한 수입차들의 전통적으로 준중형자동차에 집중하였으나 최근 중소형 신모델과 디젤차 출시도 판매 증가의 원인.

②내수용 고객은 차별받고 있다는 인식.

국내 소비자들이 해외고객에 비해 상대적으로 푸대접 받는다는 인식이 강해진 부분이다. 

한국소비자원에 2011년부터 2012년 9월까지 접수된 승용차 부식 피해 사례는 742건에 달했는데 그 원인이 국내 자동차 제작사가 수촐용 차량에는 내식성 향상을 위해 아연 도금을 쓰면서 내수용 차량에는 일부만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견해를 소비자원이 밝히면서 더욱 불신이 확장됐다.


수입차 급증에 대한 대응방향


① 생애 첫차 공량 & AS강점 부각.

젊은 층, 여성고객 등 생에 첫차를 자사 자동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비성향과 니즈에 맞춰 집중공략할 필요가 있음.

그리고 수입차 대비 AS편의성과 경제성을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음.

 ② 소비자 니즈에 맞춘 개발

자동차의 기능을 높이고, 다양한 디자인과 자동차를 출시하는 등 소비자 니즈에 맞춘 지속적인 자동차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자동차 품질과 안전측면에서 국산 내수용 차량도 수입 자동차 못지않게 안전하고 내구성이 좋다는 인식을 소비자들이 갖게하고, 국내 소비자들이 수출용 대비 차별받고 있지 않다는 것을 심어 줄 필요가 있음!

③ 신뢰유지를 위한 노력

회사들은 소비자들에 대한 신뢰를 잃지 않게 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

 






4. 업종 상식



① 자동차 파워트레인

자동차 엔진에서 부터 바퀴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일련의 장치를 말한다. 

파워트레인에 포함되는 자동차 부품은 클러치, 트랜스미션, 추진축, 종감속장치 및 차동장치, 차축 등


②트랜스미션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주행상태에 따라 변속시켜 바퀴에 전달해주는 장치. 

일상에서 흔히 스틱, 오토 또는 기어라고 불리우는 ‘변속기’부분이다. 

엔진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며 동력 차단과 후진기능도 하는 자동차 파워트레인의 핵심부품이다.


③ 자동차 샤시

자동차의 구조는 크게 샤시와 차체로 구분. 차체는 승객 및 운전자의 좌석과 화물 적재하기 위한부분이고 이러한 차체를 뺀 나머지 부분을 샤시라고 함.


④ ABS (Antilock Brake System : 바퀴 잠금방지 제동장치)

빗길, 눈길 등의 미끄러운 길이나 고속에서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아도 조향장치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⑤ EPS (Electric Power Steering : 전기모터 구동식 조향장치)

운전자가 핸들을 돌리면 ECU가 판단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파워스티어링이 가능토록 하는 장치.


⑥EUC (Engine Control Unit)

엔진제어시스템. 두뇌에 해당되는 것으로 센서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파워, 연비, 배기가스등의 측면에서 매순간마다 엔진이 최적으로 운전되도록 구동기를 작동시킴.

 

 



5. 현대자동차



1998년 기아자동차를 인수한 후 자동차 생산의 70~80%를 장악하면서 국내 자동차업계의 독점적 위치를 차지하였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출범한 후 1년 만인 2001년 현대자동차(주)·기아자동차(주)의 자동차 생산량은 세계 자동차업체 중 9위가 되었다.

2012년 상반기 매출 실적은 69조 6,000억 원이며, 현대자동차는 자동차 부문 세계시장에서 8.6%의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2012년 상반기 영업이익은 5조 7,000억 원, 순이익은 5조 9,800억 원이다.

 


1) 강점


① 글로벌 불황에도 지속 성장 - 세계 자동차 중심국으로 견인

글로벌 불황에도 현대차는 성장을 지속하며 우리나라가 자동차산업의 중신이 되는데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의 456만대 자동차 생산량 중 현대차는 2012년 441만대 이상을 생산, 세계 시장에 판매하며 8.6%성장을 이루어 냈다.

 

② 수소연료전지차 글로벌 선도 - 세계 최초로 양산체제 구축

현대차는 친환경차 중 수소연료전지차(FCEV) 부문에서는 글로벌 선두기업이다. 2013년 2월 세계 최초로 울산공장에서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에 들어갔다.

 

③ 해외시장 개척 성과

현차는 신흥시장에 현지공장을 세우며 적극 공략해 해외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현대차가 해외에서 선전하는 요인 중 하나는 글로벌 생산거점 구축을 통한 현지생산-현지판매 체계다.  이러한 해외생산능력 강화는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세를 이어가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④ R&D 투자확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쟁사들이 연구개발 투자를 줄일 때 현대차는 반대로 R&D투자를 늘려나갔다. 현대차 연구개발비는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년부터 계속 확대해 왔다.

 

⑤ 스마트 친환경차 개발

현대차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전기차, 하이브리드카, 수소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차에 집중 투자개발해왔다.

현대차는 친환경차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현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개발을 완료하고,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체제에 돌입하는 등 차세대 기술에서도 글로벌 자동차기업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⑥ 철저한 현지화 전략

현지생산-판매체계와 함께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해외판매 성과를 높이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현대기아차의 현지화 전략이 주효했다. 중국 현지에 공장을 설립하고, 중국 현지에 맞춘 전략 차종을 출시하는 등 중국 현지 소비자들에 철저히 맞춘 마케팅 전략을 펼쳐왔다.

 

⑦ 품질-원가 경쟁력. 철강에서 완성차까지 수직계열화

현대 기아차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철강재에서 완성차까지 생산의 수직계열화를 갖춘 자동차 그룹. 이런 수직계열화는 일관성있게 기술 경쟁력을 키울 수 잇고, 자체적오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을 경쟁사로부터 보호. 안정적인 부품공급과 품질관리 원가경쟁력 강화.

 

⑧ 타글로벌 경쟁사 대비 높은 영업이익률

6대 자동차 메이커 중 영업이익률면에서 현대차가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다. 현대차는 영업이익률이 11.3%로 고급 브랜드 전략으로 고수익을 고수해온 BMW의 11.4%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현대차가 이렇게 영업이익이 높은 것은 생산의 수직계열화와 함께 해외 공장설립시 규모의 경제를 고려하여 지은 덕분.

 

 

2) 회사 이슈


① 현대차는 1999년부터 수소연료전지차 개발에 착수, 주력해온 결과 2013년 2월 세계 자동차 메이커 중 최초로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에 들어갔다. 유럽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해외시장 진출에 나선다. 이렇게 내수보다 해외시장 진출을 먼저 시도하는 이유는 친환경차량에 대한 정부지원혜택과 함께 수소인프라 구축 등 연료전지차량보급 여건이 우리나라보다 좋기 때문.

 

② 현대차의 연료전지차 결정판은 ‘투싼’이다. 독자 개발한 현대차의 연료전지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템 효율성과 성능을 가지고 있다. 1회 수소충전으로 최대 588키로를 주행하고 연비는 31KM/L이다. 투싼 ix 수소연료전지차 양산형 모델은 14년 간 연구해온 현대차의 기술력이 결집되어 있다.

 

 

③ 현대기아차의 하이브리드카 개발현황 및 계획

현대기아차는 하이브리드카의 핵심 전기동력부품인 전기모터, 인버터, 컨버터, 배터리를 독자 개발하여 국산화에 성공했고 아벤떼와 포르테의 LPI하이브리드카 개발을 완료했다. 현재 하이브리드카보다 한 단계 더 전기차에 가까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V) 차량 양산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09년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컨셉트카 ‘블루윌’을 개발. PHV의 본격적인 국내외 시장 판매를 앞두고 있음.

 

④ 현대기아차의 전기차 개발현황 및 계획

현대기아차는 현재 전기차 ‘레이 EV'의 개발을 완료하고 판매하고 있음. 2010년에는 전기차 ’블루온‘을 완성하여 블루온에 이은 2번째 전기차 레이전기차를 2011년에 출시.

 




 

6. 기아자동차

 


1) 강점


① 기아차는 현대차그룹 차원의 품질 경영을 바탕으로 2006년 디자인 경영을 선포하고 고객의 감성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디자인에 주력. 2000년대 중반까지는 기아차는  가격이 저렴한 차로 인식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아차는 과감히 디자인에 선택과 집중하고 디자인 차별화를 위해 모든 역량을 쏟아부음.

해외 진출과 함께 2000년대 초반 11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유럽과 미국의 디자인 센터를 한국과 동시에 운영해 왔다. 

2009년 이후 차별화된 디자인이 반영된 신차를 모든 라인업에서 출시하며 레드닷, IDEA 어워드, iF디자인상 등 세계 메이저 디자인상을 수상하고 JD파워, 컨슈머리포트 등으로부터 품질 우수성을 인정받음.

 

② 기아차는 더 나아가 패밀리룩을 만들어 나갔다. 

K시리즈가 주축이 되어 자동차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에서 ‘호랑이코 그릴’을 통해 대표적인 이미지를 구축해나가고있다. 

국내 출시된 k3, k5, k7, k9등 k라인 차종은 기아차의 정체성을 대표하고 있음. 

이를 통해 bmw나 벤츠 등 다른 브랜드에 비해 역사는 짧지만 빠르게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해나가며 글로벌 완성차 메이커로서 성장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③ 글로벌 시장 성과 - 해외생산거점 & 현지화전략

기아차의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의 성장은 품질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경영으로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 공격적인 해외 딜러 판매망 확대, 신흥 시장 투자 강화의 노력이 주효했다.

미국시장에서는 ->  k5 슈퍼볼 광고 및 NBA 올스타전 덩크슛 이벤트 등의 스포츠 마케팅과 뉴욕 타임스 스퀘어 옥외 광고 등 다양한 현지 마케팅활동을 하고있음.

중국시장에서는 ->중국의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스탠코비치컵 국제농구대회 등에서 활발한 스포츠 마케팅을 펼치며 역동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알리고 있다.

유럽시장에서는 ->  특히 러시아에서는 현대차(17만 2000대)보다 더 많이 판매.

 

④ 스마트 전기차 개발 - 미래 성장 동력 확보

기아차는 2011년 말 양산형 모델인 ‘레이 전기차’를 내놓았다. 이러한 친환경 차량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는 현대기아차의 미래 성장동력 분 아니라 국내 자동차 산업과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것. 특히 기아차의 ‘레이 EV'는 정부 및 공공기완, 지방자치단체를 중신으로 보급하고 있다. 기아차는 준중형급 전기차 개발에 연구개발을 집중해 2014년 상반기에 준중형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

 

⑤ 고객관리 정책

기아차는 차량 구매 이후부터 폐차까지 고객의 자동차 생활을 지원하는 ‘토탈 고객 서비스 프로그램’ 인 Q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전국 800여곳에 이르는 당 사 정비 서비스 네트워크 오토큐, 큐멤버스 사이트, 고객센터, 차량관리 서비스 등등

 

⑥ 품질 원가경쟁력 - 철강에서 완성차까지 수직계열화.

현대 기아차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철강재에서 완성차까지 생산의 수직계열화를 갖춘 자동차 그룹. 현대제철의 열연 강판이 현대하이스코로 넘어가 자동차용 강판을 만들고 현대모비스 등에서는 자동차 부품을 만들어 현대기아차의 자동차 생산에 투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런 수직계열화는 일관성있게 기술 경쟁력을 키울 수 잇고, 자체적오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을 경쟁사로부터 보호. 안정적인 부품공급과 품질관리 원가경쟁력 강화.

  

3) 기회 - 현대기아차의 내수시장 대응전략


① 가격인하 & 틈새마케팅

현대차는 처음으로 국내에서 판매 중인 승용차 5개의 차종의 값을 한꺼번에 인하했다. 또한 틈새마케팅의 일환으로 첫차 구입 고객이 벨로스터나 아반떼, i30, i40를 구매하면 10만원 추가할인해준다. 기아차도 모닝, 레이, 프라이드를 구매하면 10만원 추가 할인.

 

② AS강화

현대기아차는 수입차와 비교했을 때 서비스 센터를 많이 갖고있는것이 강점이다. 양적인 서비스뿐 아니라 원스톱 서비스 예약센터를 개설하는 등 서비스의 질을 업그레이드 하고있음. 2013년 1월 여성 고객을 위해 업계 최초로 개설한 ‘여성’ 전용 as서비스 거점인 ‘블루미’도 수입차 업계에 대응하고 있다.(현대차)  2013년 7월에는 소비자 감성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동차회사로는 처음으로 서비스센터에 진동소음실을 설치.

 

③ 택시시장 공략

현대차는 내수시장 중 틈새시장에 해당되는 택시시장에서도 1위 수성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 기아차, 르노삼성이 2파전을 펼치는 택시시장에 최근 한국GM이 다목적차량 올란도로 새롭게 뛰어들음. 현재 현대차가 YF쏘나타를 중심으로 72%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 중. 현차는 이에 그치지 않고 개인택시 고객만을 위한 재구매에 따라 혜택을 늘리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실시 하는 등 마케팅 강화 중. ( 현대차는 택시시장 점유율 계속 상승세)

 




 

7. 한국GM

 


1) 강점 및 성장 잠재력


① 지속적인 신차 출시. 신차출시와 함께 경차 스파크부터 준대형 알페온가지 탄탄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② 쉐보레 도입이후 급속한 성장세


③ 차별화된 고객케어 서비스

한국GM은 전차종에 3-5-7 쉐비케어(Chevy care)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쉐비케어는 쉐보레 브랜드를 달고 있는 전 차종에 대해 3년간 엔진오일 및 소모품 무상교환, 5년 또는 10만 키로 보증수리기간 확대, 7년간 무상긴급출동서비스 등의 혜택이다. 쉐보레 브랜드 100주년을 기념해 2011년까지 계획된 서비스였으나 고객의 호응도가 높아 연장하고 있다.


④ 경차에 이어 GM중형차 생산거점화

기존 경차와 소형차 생산거점이었던 한국GM이 중형세단 쉐보레 말리부 엔진을 모두 국내에서 생산하기로 하면서 GM그룹 내 중형차 생산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⑤ 판매 네트워크 및 정비사업소 개선

한국 GM은 기존의 딜러인 아주모터스, 삼화모터스, 대한모터스와 함께 스피트 모터스, SS오토 2개사와 추가로 딜러 계약을 체결하며 딜러 시스템을 강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거점 지역의 대형 판매 대리점도 개점하며 판매 네트워크를 개선해 나가고 있다.


'■ 취업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생명보험업 :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등  (0) 2016.03.08
[기업분석] 식품업 : CJ제일제당, 롯데푸드, 농심 외  (2) 2016.03.08
[기업분석] 가구업 : 한샘, 현대리바트, 퍼시스 등  (0) 2016.03.08
[인적성 후기] 교보생명 인적성 검사 및 경제경영 통합 Test 후기  (12) 2016.03.08
[인적성 후기] P&G Reasoning Test & English Test 후기  (30) 2016.03.08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HISTORY
    •  
    • ■ 가전 ■
      • 생활가전 비교분석
    •  2
    • ■ 마케팅 ■
      • 마케팅 인사이트
      • 마케팅 프로세스
      • 마케팅을 위한 지식
      • 마케팅을 위한 회계
    •  3
    • ■ 정보 ■
      • 주식
      • 부동산
      • 재태크
      • 연봉.lab
      • 정보.lab
      • 지식.lab
    •  4
    • ■ 컴퓨터 ■
      • 엑셀
      • 피피티
      • 컴퓨터
    •  5
    • ■ 취업정보 ■
      • 자기소개서
      • 인적성시험
      • 면접
      • 정보
      • 영어
    •  6
    • ■ 생각(반말주의) ■
      • 직장인
      • 심심풀이
      • 체험리뷰
      • 제품리뷰
      • 북리뷰
      • 오래된 창고

LATEST COMMENTS

LATEST FROM OUR BLOG

RSS 구독하기

BLOG VISITORS

  • Total :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201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